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홈페이지 바로가기 안내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신청 대상 기준 확인하기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신청 절차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지급은 코로나 19 방역조치로 누적 피해가 큰 소상공인 및 소기업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총 113만 명으로 2019년 이후 1개 반기라도 매출 감소 시 지원한다.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지원 유형은 방역 수준, 방역조치 기간, 규모 그리고 업종 등 업체별 피해 정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24개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지원한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홈페이지 바로가기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홈페이지 바로가기는 다음과 같다. 추가경정 예산안이 발표와 함께 소상공인 피해를 제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이번 코로나 19 피해지원 3종 패키지 중 소상공인 피해지원에는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과 소상공인 손실보상이 있다. 특히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은 버팀목자금 플러스와 같이 온라인을 통해 간편 지급하게 된다.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홈페이지 바로가기 ◀◀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신청 대상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은 코로나19 방역조치로 누적 피해가 큰 소상공인과 가업을 중심으로 피해지원을 실시하는 것이다. 지원 대상은 2020년 8월 이후 1회라도 집합 금지 제한 조치를 받거나 경영위기 업종에 해당하는 소상공인과 소기업 113만 명이 해당한다.

 

지원 기준은 2019년 이후 1개 반기라도 매출 감소 시 지원한다. 지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2019년부터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서 감소한 경우 지원한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지원 금액은 최대 900만 원으로 버팀목플러스 대비 400만 원이 인상된 것이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소상공인-버팀목자금-플러스-3차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지원 유형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지원 유형은 방역 수준, 방역조치 기간, 규모 그리고 업종 등 업체별 피해 정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24개 유형으로 세분화하였다.

 

  1. 수준: 집합 금지, 영업제한, 경영위기 업종으로 크게 구분
  2. 기간: 2020년 8월 16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총 46주 중 방역조치 기간에 따라 장기, 단기로 구분한다.
  3. 규모: 20년 연 매출 8천만 원, 2억 원, 4억 원 기준으로 구분한다.
  4. 업종: 매출 감소 40% 이상 여행업 및 공연업과 20%에서 40% 전세버스 등이 해당

지급 절차는 버팀목 플러스와 동일하게 온라인으로 간편 지급을 실시한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 홈페이지 바로가기 희망회복자금 신청 대상 대표 이미지
소상공인-버팀목자금-플러스-3차-홈페이지-바로가기-희망회복자금-신청-대상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3차는 코로나 19 방역조치로 인한 누적 피해가 큰 소상공인과 소기업을 중심으로 추가 피해를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113만 명으로 유흥업종 20만 명, 음식점 등 76만 명 그리고 여행업 17만 명이 해당한다. 지원 유형은 방역 수준, 방역조치 기간, 규모 및 업종 등으로 구분하여 최대한 반영한다.